문과생 네버랜드의 데이터 창고

14. 적분의 테크닉 - 정적분과 부정적분, 치환적분, 부분적분 본문

미적분

14. 적분의 테크닉 - 정적분과 부정적분, 치환적분, 부분적분

K JI 2023. 5. 29. 22:21
  1. 정적분과 부정적분?

    1) 부정적분은 어떤 함수를 도함수로 하는 모든 함수(=역도함수)를 구하는 연산이다.

    ${(1)}$ 구간을 정의하지 않고 적분한다는 의미에서 '부(不)정적분'이라고 한다.

    ${(2)}$ 즉,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.
    -. $F'(x) = f(x)$라고 할 때, (단, F'(x)는 x에 대한 F(x) 함수의 미분)
    -. $\int f(x)dx = F(x) + C$
    -. 위와 같은 관계로 정의되는 적분을 '부정적분'이라고 표현한다.

    2) 이와 대비되는 정적분넓이를 정의하기 위해 상한하한을 정의하여 '값'을 구하는 적분이다.

    ${(1)}$ 상한과 하한에서 상합 S(big S)와 하합 s(small s)가 정의되며
    -. 상합 S와 하합 S의 극한이 A로 점차 접근할 때, 이 A값이 바로 적분값이 된다.
    리만합으로 표현한 정적분.
    새로운 지점(= 더 많은 직사각형)이 추가될수록 상한영역은 작아지고, 하한영역은 커지면서
    '상한영역 / 하한영역의 차이'점차 작아지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.
    -. 이제, 점이 충분히 많이 추가되어 $\Delta x \rightarrow 0$이면 $상한 \rightarrow A$, $하한 \rightarrow A$이 성립되며,  상한 영역과 하한 영역의 차이는 0으로 수렴하게 된다. 이 때, A라는 극한값이 바로 적분값이다. 

    ${(2)}$ 정적분은 아래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.
    -. 정적분을 수행할 때 하한과 상한이 그 극한값 A로 수렴하지 않을수도 있다
    $V(x) = \begin{cases}
    1 & \text{ if } x= 유리수 \\ 
    0 & \text{ if } x= 무리수 
    \end{cases}$ 인 함수라면 이 함수의 하합은 $s=0$, 상합은 $S = b-a(1\cdot \Delta x)$가 되어 아무리 극한을 취해도 좁혀지지 않는다.
    -. 계단함수는 불연속함수이지만 적분이 가능하다
    점프 직전 / 직후 순간의 넓이는 $\Delta x \rightarrow 0$일때 0으로 수렴하며, 점프 직전과 직후의 넓이를 각각 더하면 된다

  2. 치환적분

    1) 미분의 연쇄법칙을 거꾸로 비틀어 적분을 보다 쉽게 만들어주는 테크닉

    2) $F(x) = \int f(x)dx$에서 $x=g(x)$로 치환한다면

    ${(1)}$ 이 적분값 F가 정확히 뭔지는 알 수 없지만, 일단은 $F(g(x))$ 꼴인건 확실하다(적분시에 내부 함수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)

    ${(2)}$ 이 경우, $F(g(x))$의 도함수는 미분의 연쇄법칙에 따라 $f(g(x)) \cdot \frac{dg(x)}{dx}$ 꼴로 바뀐다.

    3) (1)(2)를 이용하여 다시 정리하면 

    ${(1)}$ $F(x) = \int f(x)dx $라는 역도함수도함수적분 관계가 성립될 때
    -. $x = g(x)$라 놓고 $F(g(x))$로 치환하면
    -. $$F(g(x)) = \int f(g(x)) \frac{dg}{dx} \cdot dx = \int f(g(x))dg$$

    ${(2)}$ 위의 관계에서 도출 가능한 $\frac{dg}{dx}dx = dg$ 혹은 $dx = \frac{1}{\frac{dg}{dx}}dg$ 라는 연산자를 이용하면 좀 더 수월한 치환적분이 가능하다(예제 참조

    4) 일반화된 치환적분 프로시져는 아래와 같다.
    1 -. $g(x)$를 선택한 후, $\frac{dg}{dx}$를 계산한다
    2 -. $f(g) \cdot \frac{dg}{dx} \cdot dx 혹은 f(g) \cdot dg$ 를 찾는다.
    -. 혹은 $dx = \frac{1}{\frac{dg}{dx}}dg$를 이용한다)
    3 -. $\int f(g)dg$를 적분하여 $F(g) + C$를 찾는다
    4 -. 역도함수 $F(g)$에 $g(x)$를 대입하여 최종적으로 정리한다.

    5) 예제로 보는 치환적분 

    1) $\int \frac{x}{\sqrt{x^{2}-1}}dx$ 를 적분하라

    ${(1)}$ $x^{2} - 1 = g$ 로 치환하면(1번)
    -. $\frac{dg}{dx} = \frac{d(x^{2}-1)}{dx} = 2x$, 즉 $dx = \frac{1}{2x}dg$

    ${(2)}$ 치환된 g와 $dx = \frac{1}{2x}dg$ 이용하여 식을 다시 쓰면(2번, 3번)
    -. $\int \frac{x}{\sqrt{g} \cdot 2x}dg$ 이므로
    -. $\int \frac{1}{2 \sqrt{g}}dg = \int \frac{1}{2} \cdot g^{-\frac{1}{2}}dg = \frac{1}{2} \cdot 2 \cdot g^{\frac{1}{2}} = \sqrt{g}$

    ${(3)}$ $\sqrt(g)$ 에서(4번)
    -. $g =  x^{2} - 1$ 이므로
    -. 최종적으로 $\sqrt{x^{2} - 1} + C$

  3. 부분적분

    1) 합성함수의 적분을 취할 때, 쉬운 적분과 어려운 적분을 구분하여 적분을 좀 더 수월하게 실시하는 테크닉

    2) 미분의 합성미분법칙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부분적분 테크닉을 유도한다
    곱미분법칙 : $\frac{d(f(x)g(x)}{dx} = f(x)\cdot \frac{g(x)}{dx} + \frac{f(x)}{dx}\cdot g(x)$ 
    이 떄,
    양변을 적분하면
    ① $\int \frac{df(x)g(x)}{dx} dx = \int (f(x) \cdot \frac{g(x)}{dx} + \frac{f(x)}{dx}g(x)) dx$ 
    ② $f(x)g(x) = \int f(x)\frac{g(x)}{dx}dx + \int \frac{f(x)}{dx}g(x)dx$ 
    ③ $\int f(x) \frac{g(x)}{dx}dx = f(x)g(x) - \int \frac{f(x)}{dx}g(x)dx$
    3) 위에서 도출된 식을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.
    ${(1)}$ 미분이 간단한 $f(x)$와, 적분이 간단한 $u(x) = \frac{g(x)}{dx}$가 존재한다고 하자.
    $\int$ $f(x)$ $\frac{g(x)}{dx}$ = $f(x)$ $g(x)$ -$\int$ $\frac{f(x)}{dx}$ $g(x)$
    원래함수 원래함수 원래함수 적분 미분 적분
    -. 미분이 간단한 $f(x)$는 미분을 수행하고
    -. 적분이 간단한 함수 $u(x) = \frac{g(x)}{dx}$는 그 함수가 이미 미분이 되었다고 가정한 후 역으로 적분을 수행하여 
    -. 원래 함수꼴인 $\int f(x)u(x)dx$를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

    ${(2)}$ 도표법을 이용하면 부분적분을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다(예제 참조)
    -. 도표법은 미분이 간단한 $f(x)$와, 적분이 간단한 $u(x) = \frac{g(x)}{dx}$ 가 연속적으로 미분 / 적분형식을 취할 경우
    -. 회차를 거듭하면서 계속 미분 / 적분을 수행한 후 규칙에 따라 항들을 하나로 조립하여 최종적인 꼴로 나타내는 방법이다
    -. (t-1) 회차의 미분항과, t 회차의 적분항을 결합한 후 $(+) \rightarrow (-) \rightarrow (+) \rightarrow (-)...$를 반복하는 부호를 붙인다.

    4) 예제로 보는 부분적분

    ${(1)}$ $\int x^{2}e^{x}dx$를 적분하라
    -. 이 식은 미분이 비교적 쉬운 $x^{2}$와, 적분이 비교적 쉬운 $\frac{g(x)}{dx}=e^{x}dx$로 이루어져 있다.
    -. 도표법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.
    도표법을 이용한 연속적인 부분적분의 예시

    ${(2)}$ $\int e^{2x} sin(x)dx$를 적분하라
    -. 이 식은 적분이 비교적 쉬운 $e^{2x}$와, (그나마) 미분이 쉬운 sin(x)의 합성식이다
    -. 문제는, 도표법을 적용하려고 해도 sin(x)는 $sin \rightarrow -cos \rightarrow -sin \rightarrow cos...$가 반복되는 함수라는 점이다.
    -. 이는 도표법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풀 수 있다. 
    미분부가 반복함수라서 상수항 소거가 불가능할 경우의 부분적분 예시
    -. 즉, 추가적인 미분을 해봤자 의미가 없기 때문에 마무리는 (더이상 푸는게 무의미하다고 여겨지는) 적분식으로 마무리 짓는다.

'미적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6. 로그함수와 지수함수  (0) 2023.06.02
15. 미분방정식의 변수 분리법  (0) 2023.05.31
13-1 적분의 기본 성질  (0) 2023.05.29
13. 적분  (0) 2023.05.26
12-1 삼각함수의 역함수  (0) 2023.05.22